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대종교인물

"대종교, 하늘 땅 사람"이 하나 되는 생명의 종교

기타인물

일광 명제세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09-02-17

첨부파일

mjs.jpg


 

명제세(明濟世, 1885~1950(납북)). 호 一光

본관은 서촉(西)이며, 평안북도 영변()에서 출생하였다. 러시아령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와 1909년부터 독립운동에 투신, 만주 각지와 시베리아 등지를 오가며 항일운동을 하였다. 1910년 이후에는 광복단()에 가입하여 활동하였고, 1919년 국내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4월 18일 임시정부의 옹호와 독립운동 원조를 목적으로 톈진[
]의 프랑스 조계 집현리()에 조선홍()·김철() 등과 함께 불변단()을 조직, 단장인 조선홍에 이어 부단장에 임명되었다가 8월 15일 단장에 선임되었다. 또한 10월에는 박은식()·안정근()· 도인권()·박문용()등 30여 명과 함께 상해임시정부 제2독립선언서 작성에 참여하였다.

1922년 12월 연희전문학교 학생 염태진(
)·박태화()등 50여 명이 조선물산장려운동 단체인 자작회()를 조직하고 국산품애용운동을 벌이자 이 운동을 전국에 확산시키기 위해 1923년 1월 서울에서 조선물산장려회()를 결성하고 본격적인 물산장려운동에 참여하였다. 1926년 10월에는 조선민흥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신간회와 합작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 위원과 국민당 부위원장, 한국독립당 중앙상무위원을 지냈고, 1946년 대한 소년 체육회 설립 초대 회장,

1948년 초대 심계원장(), 1949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최고고문을 지냈다. 1950년 6·25전쟁 때 납북되었으며, 1956년 7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집행위원을 지냈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이전글
운양 김윤식
다음글
애산 이인